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제도서] 「주식투자는 사이클이다」 : 사이클을 확인할 수 있는 지표 알아보기

by 부자양 2025. 3. 1.

주식 시장은 경제 상황, 기업 실적, 금리 변동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사이클을 보입니다. 매번 개별 주식만을 보고 주식으로 마음고생을 꽤나 했는데 이러한 거시적인 관점에서 경제 사이클을 이해하고 적절히 대응하는 것이 투자에 필수적입니다. 제이투의 저서 『주식투자는 사이클이다』에서는 주식 시장의 흐름을 사계절에 비유하여 설명하며, 투자자들이 각 시기에 맞는 전략을 세울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주식 시장의 4계절 사이클

이 저서는 주식 시장의 사이클을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로 구분합니다. 

1. 봄, 공포로 인해 선뜻 뛰어들기 힘든 시기

100% 주식투자(분할 매수)

주식시장의 봄 단계는 버블이 터진 뒤 하락장 끝에서 상승장으로 들어서기 전의 공포 단계로 봅니다. 상승장에서 배를 불려주는 시기는 끝났고 하락장에 진입하면 공포와 좌절로 인한 투매가 발생합니다.

봄에는 미리 확보해 논 현금으로 주식을 적극적으로 매수해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증시의 바닥을 정확히 찾아낼 수 없으므로 원하는 구간이 오면 분할 매수를 통해 주식을 매입해야 합니다. 

2. 여름, 더블딥의 공포로 두려움이 가득한 시기

100% 주식투자(보유전략)

여름은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직전의 단계입니다. 주식시장에 뛰어들어야 하는지를 의심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여름에는 봄에 매입한 물량을 100% 보유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이중침체, 즉 더블딥의 공포로 인해 자칫 어렵게 매집한 물량을 시장에 빼앗길 수도 있는 단계이기도 하지만 공포가 지나면 대세 상승장이 이어집니다. 

3. 가을, 급격하게 상승하지만 대중은 관망하는 시기

50% 주식투자, 50% 현금화(매도)

가을 단계는 추수하듯 이익을 거두는 시기입니다. 대중의 의심을 타고 가장 빠르게 주가 상승이 이루어지는 시기기도 합니다. 가을 구간은 봄과 여름에 공포를 이겨내고 힘들게 매집한 주식을 수익화하는 계절입니다. 수익의 50% 정도를 현금화하는 구간입니다. 

4. 겨울, 버블로 인해 모두 환희에 빠져 있는 시기 

30% 주식투자, 70% 현금화(매도)

겨울은 본격적인 버블 구간입니다. 겨울 단계는 전고점을 돌파하며 본격적인 과열을 알리는 신호를 내보냅니다. 버블구간은 광기의 영역입니다. 사람들의 욕심으로 인해 더욱 큰 버블이 만들어집니다. 

대중이 버블에 취해있을 때 투자 자산을 현금화해야 합니다. 가을에 매도한 50%에 20%를 더해 자산의 70%는 이 시기에 현금화를 해야 합니다. 

상승장 구간 확인방법

상장장 구간은 증시가 버블을 가리키고 있다는 의미입니다. 아래 5가지 지표를 의미 있게 분석하면 버블을 가리키는 구간을 찾을 수 있을 것입니다. 

1. 전고점 돌파 여부(미국 증시 기준)

미국 증시 기준으로 전고점 돌파 여부로 상승장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전고점을 돌파하면 위쪽 매물이 없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이목을 끌어 시장에 참여시키기 위해서 거대 자금들은 고의적으로 전고점 돌파를 시도하기도 합니다. 사람들의 광기가 시장의 버블을 키우며 전고점 돌파 이후 수직 상승하는 차트를 만들어 냅니다.

2. 대장주로 버블 구간 확인

최근 나스닥의 대장주인 엔비디아만 살펴보더라도 바닥에서 10배 가까운 상승을 보였습니다. 엔비디아 이전의 나스닥 대장주인 테슬라는 바닥에서 10배 상승한 후 증시와 동반 하락한 경험이 있습니다. 물론 대장주 하나만을 보면서 버블 구간 확인은 무의미 하지만 다른 지표와 꼭 함께 확인해 봐야 하는 것이 대장주의 고점 여부입니다.

3. 버핏 지수로 버블 구간 확인

버핏지수는 국가 경제와 주식시장 가치를 함께 비교한 비율을 수치화한 지표입니다. 

워런 버핏은 이 지수를 통해 증시가 버블 구간에 진입했다고 판단되면 현금화를 통해 버블 이후의 상황에 대처한다고 합니다. 

81%이하 상당히 저평가
81% ~ 105% 약간 저평가
105% ~ 128% 적정 가격
128% ~ 151% 약간 과대평가
151% 이상 상당히 고평가

버핏 지수에서 적정 가격은 105%에서 128% 사이로 산출합니다. 105% 이하 구간은 저평가되어 있다고 보며, 128%보다 높으면 버블이 발생한다고 판단해 주식 비중을 조절합니다. 

버핏 지수 계산이 어렵다면 구루포커스 홈페이지에도 실시간 확인할 수 있습니다.

www.gurufocus.com > Menu > Market > Buffett Indicator

4. VIX 지수로 버블 구간 확인

변동성 지수로 불리는 VIX는 흔히 공포 지수로 여겨집니다. 이는 S&P 500 지수 옵션에 기반해 변동성을 측정하는 방식인데 각 옵션의 가격은 30일 전향적 변동성 예측을 대표합니다. 이는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반대로 상승하기에 공포 지수라 불립니다. 

VIX 지수 : 15 ~ 20 안정적인 주식시장(버블 구간 확인)
VIX 지수 : 30 이상 불안정한 주식시장(폭락 구간 확인)

VIX 지수가 30 이상으로 치솟았을 때 반대로 주식시장은 폭락하면서 큰 기회가 찾아옵니다. 반대로 증시가 앞서 분석한 세 가지 지표에 따라 과열 구간에 들어선다면 VIX 지수는 안정되어 15 이하로 형성됩니다. 

공포지수는 버블 구간에서 확인해야 하는 지표로 버블 구간에서 VIX 지수가 매우 안정적이라면 이후에 증시 방향성이 급격하게 바뀔 수도 있다고 내다봐야 합니다.

5. 달러와 엔으로 버블 구간 확인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은 달라입니다. 미국은 세계 판돈이라는 기축통화의 지위를 이용해 세상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달러의 뒤를 이은 일본의 엔 또한 준기축통화의 지위를 부여받으면 대표적인 안전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주식시장 폭락 달러와 엔 상승
주식시장 상승 달러와 엔 하락

IMF 시기와 리먼 브러더스로 촉발된 미국 발 금융위기 당시 주식이 폭락할 때 달어와 엔은 반대로 상승했습니다. 최근에는 미국의 강달러 현상으로 이 공식이 맞이 않을 수도 있지만 위의 4가지 지표와 엔의 상승과 하락 지표를 통해서도 사이클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달러와 엔이 저점에 도달해 간다면 시장은 반대로 움직일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합니다.

하락장 구간 확인방법

1. 하이먼 민스키 심리곡선

버블이 터지면 대중은 고점에서 현실을 부정하기 시작합니다. 그러다 공포로 인해 투매가 발생해 주식이 폭락하기 시작하면 손실에 대한 스트레스를 참지 못하고 자산을 매도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주변 지인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 하이먼 민스키의 심리곡선입니다. 

2. 고점 대비 30% 하락 지점 찾아내기

증시는 항상 고점을 만들어냅니다. 시간이 흐르고 나서 하락 사이클이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고점 대비 어느 정도나 하락했는지 계산해 보면 최근 증시에서는 30% 선에서 하락을 마무리했습니다. 2008년 미국 발 금융 위기 당시는 금융제도를 흔들 정도의 큰 위기였기 때문에 50% 이상 하락했지만 2018년 이후에는 30% 근처에서 하락을 마무리하고 상승 사이클로 돌아섰습니다. 

3. 월봉과 연봉으로 저점 찾아내기

코스피 연봉을 보면 10일선(2주 동안의 주가)을 깨고 내려간 적은 없습니다. 그리고 삼성전자 월봉 60일 선도 깨진 적이 없습니다. 코스피 연봉 10일선과 삼성전자 월봉 60일선을 확인하며 저점을 찾을 수 있습니다.

4. 공포지수로 바닥 구간 확인하기

앞에서 설명했듯이 폭락장이 발생하면서 VIX 지수가 30 이상일 때가 보통 증시의 바닥입니다. 

VIX지수가 30 이상 치솟는다면 하락장에서 확인되는 지표를 동시에 확인하면서 분할 매수 타이밍을 찾아야 합니다.

5. 달러와 엔으로 폭락 구간 확인하기

증시가 하락하면 안전자신인 달라와 엔으로 자금이 몰립니다. 달러 가격이 1300원에서 1500원 사이 엔 가격이 1100원에서 1500원 사이라면 주가는 하락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식 시장은 사이클이 반복되며, 이를 이해하면 하락장의 위험을 회피하고 상승장의 기회를 포착할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는 사이클은 단순한 이론이 아닌 저자가 실제 투자해 본 경험을 바탕으로 초보자들도 쉽게 상승장과 하락장의 지표를 이해하기 쉽게 적었습니다. 숲을 보지 못하고 나무만 보는 개별 종목 투자자들에게 경각심을 일깨워 주는 책이었습니다. 

 

2025.02.15 - [분류 전체보기] - ETF 종류 및 세금 총정리: 왜 ETF를 선택해야하지?

 

ETF 종류 및 세금 총정리: 왜 ETF를 선택해야하지?

안녕하세요. 투자에 관심 있는 여러분! 오늘은 ETF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처음 들어보시는 분이 없을 정도로 뉴스에서, 그리고 주변에서 많이 들으셨을 텐데요 그럼 왜 그렇게 ETF가 인기가 많

economy.librarysheep.com

2025.01.12 - [분류 전체보기] -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우리나라 경제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우리나라 경제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80원을 돌파하며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우리나라 경제에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우리나라의 원달러 환율이 1480원을 넘어선 것은 서브프라임 모기

economy.librarysheep.com